리테일&국제무역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도시에서 농경 재배하는 이야기 농업하면 보통 Herein은 시골의 넓은 텃밭에서 본격적으로 하는 이미지가 떠오르더라구요. 그런데 도심속에서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계셨나요? 도시농업의 등장🌱 도시농업은 건물내의 유휴공간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을 일컫습니다. 보통 건물옥상, 건물 내 빈 공실, 심지어는 주차장과 지하철역에서도 재배한다고 하네요! 도시 농업이 발전한데에는 크게 4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①코로나19로 인한 취미활동 개발 ②환경오염으로 인한 대책마련의 필요성 ③건강식품에 대한 새로운 수요 ④쇠퇴한 농업의 재활성화 이러한 현상과 함께, 익스프레스와이어(Expresswire)에서는, 2026년까지 도시농업의 시장규모가 약 213억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한바 있습니다. 내 주변엔 못봤는데, 어떤 도시농업 .. 구경은 백화점에서, 구매는 온라인으로! Herein🐯은, 어렸을 적부터 쇼핑하면 쇼핑백을 잔뜩 들거나, 카트 안에 무언갈 가득 담겨 있는 그런 이미지가 항상 먼저 떠올랐었어요. 사실 B.C(Before Corona)까지만 해도 그 이미지가 더 강했는지 몰라요. 하지만 요즘은 어플 안에서 스와이핑 하는 손가락의 모습이 먼저 연상 되더라구요. 밖은 너무 위험하고, 교통체증도 사람도 많은것도 싫고, 옷 일일이 갈아입는 것도 귀찮고... 사실 이건 귀찮은일이 아니었는데, 쇼핑 플랫폼의 등장 이후로 Herein🐯에겐 그러한 행위들이 귀찮은 일(=안 해도 되는데 하게 되는 일)이 되었던 것 같아요. 여러분도 이런 적 있으시나요? 이런 심리를 알았는지, 이번 8월 23일날 새로 론칭한 롯데 백화점에 #16이라는 '재고 없는 매장' 이 등장했어요. 쇼핑은 .. 요즘 안 하는 사람 찾기가 더 힘들어, 모든 세대가 즐기게 된 골프 코로나 이후 눈에 띄게 나타난 우리의 변화된 라이프스타일 중 하나는 아마도, #골프 가 아닐까 해요! Herein의 유년기때는 골프란 부모님들이 비즈니스 차원에서 치는 지루한,,, 스포츠였는데 말이죠! 지금은 MZ세대가 더욱 열광하는 골프! 골프의 변화된 시장과, 골프패션에 대해서 가져와봤어요 😎🏌️♀️🏌️♂️ 골프, 왜 이렇게 많이 하는거야?😳 1.코로나 팬데믹 이후,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실내 운동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이 증가한 것이 큰 이유라고 해요 😷 2.코로나로 막혀버린 해외여행으로 늘어난 여가시간 증가로 인해 골프라는 플랙스 레저 스포츠로 풀게 되었다고 합니다. 3. 상대적으로 저렴한 #스크린골프장 의 등장으로,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어린 타깃층의 수요가 증가했네요! 이에 따라 .. 명품이 한국에서 더 비싼 이유 (Feat. 에프터 코로나) 코로나 때문에 리테일 시장은 죽어만 가는데, 요즘 백화점의 명품 층에만 가면 전혀 딴 세상인 것 같습니다. 백화점의 대기 인원이 000명 대인걸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운 좋게 매장안에 들어가더라도, 원하는 제품을 살 수 없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이러한 수요 때문인지, 계속 국내에서만 치솟는 명품 가격 😰그 이유를 알아볼게요! 쉽게 구할 수 없어야 명품💰💎 In order to make luxury ‘accessible,’ tycoons have stripped away all that has made it special. “Luxury has lost its luster.” - Delux, Dana Thomas, pg375 럭셔리 패션 교과서로 잘 알려진 디럭스에서, 저자는 하이브랜드들이.. 옷을 땅에 심는다구요? 2021년의 지속가능성 패션 이야기 패션 산업의 탄소 배출량이 국제적 비행사와 선박이 합친 양보다 더 많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지구의 10%의 탄소 배출량을 차지하고 있는 패션 산업은 오일 산업 다음으로 2위라고 합니다. 사실, Herein🐯은 지속가능한 패션의 실현성을 계속 의심해왔어요. 매스 프로덕션을 해야 살아남는 패션업계에서 지속가능성이라니, 이 얼마나 모순된 조합이란 말인가요. 그러나 이 모순된 조합이 꿀🍯 조합으로 된 사례들을 찾아왔어요! 땅에 씨앗 말고 '옷'을 심으세요 🌾 중국의 Xtep 이라는 스포츠 의류 회사가 '땅에 심는 옷'을 개발했어요. Xtep은 Kswiss와 Palladium 이라는 브랜드를 소유한 중국의 주요 스포츠 슈즈 및 의류 회사인데요, Polyacticacid(폴리젖산) T-shirt 라는 티셔츠를 .. 메타버스 (Metaverse),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내가 공존하는 공간. 들어보셨던 분들은 들어봤을 법한 메타버스 (Metaverse). Herein은 처음 들었을 때 뉴욕의 Megabus 가 생각났었어요 🤣 버스는 버스지만 같은 버스가 아닌 메타버스, 갑자기 요즘 뜨는 이 아이는 대체 누굴까요? 메타버스가 대체 뭐야? 이미 메타버스는 패션, 엔터테인먼트, 부동산 등 다양한 영역에 넓게 퍼져있어 설명하자면 조금 길어요. 우선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해요. 이렇게만 들으면 친숙하게 들어왔던 VR(Virtual Reality)이나 AR(Augmented Reality)과 비슷해 보이고, 알쏭달쏭하죠? 쉽게 접근하자면 현실에 '나'와 가상세계 에서의 '내'가 있는거에요. 작년에 .. 브랜드 오프라인 스토어(Brick-and-mortar)들의 새로운 꽃 단장 🌸 안녕하세요! 요즘 봄이 지나고, 더워지면서 세상이 초록빛으로 새롭게 단장 중인데요, 따듯해지는 날씨에 맞춰 새롭게 단장하는 국내/외 리테일 스토어들을 Herein 🐯이 가져와봤습니다. '칼라 전략' 을 펼친 스와로브스키(Swarovski) 스와로브스키는 브랜드를 다시 살리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서 해왔는데요, 이번에 그 전략 키워드를 '칼라'로 뽑은 듯합니다. 스와로브스키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Giovanna Engelbert 씨는 이번 새로운 스토어 콘셉트를 두고 '크리스털 윌리 웡카 공장' 같은 새로운 스토어의 모습을 무척이나 마음에 든다고 합니다. 스토어의 벽면들은 베트맨 피규어 부터 시작해서 팬 그리고 악세사리 등 다양한 부자재들이 하나의 톤을 가지고 꾸며져 있습니다. Engelbert는 이러한 .. 대륙 초대형 온라인 플랫폼, 알리바바의 수난 중국의 초대형 온라인 플랫폼이자 Fortune의 500대 기업 중 하나인 알리바바 그룹, 작년부터 중국 정부에 대단히 미움받고 있는지 많은 수난을 겪고 있습니다. 😥 4월 10일, 중국 정부는 약 3조원 1000억 원 (182억 2800만 위안)이라는 역대 최고 과징금을 알리바바에게 부여했습니다. 알리바바와 중국 정부, 도대체 그들 사이엔 무슨 일이 있었기에 알리바바가 3조 원이라는 벌금을 내게 된 것일까요? 앤트 그룹(알리바바 자회사) 창업주 마윈의 쓴소리 10월 24일, 앤트그룹 창업주인 마윈이 11월 앤트 그룹의 IPO(기업공개) 상장을 앞두고 정부 비판 발언을 한 것이 오늘날 과징금의 시발점이라고들 합니다. 마윈은 당일 상하이에서 열린 와이탄 금융서밋에서 "위대한 혁신가들은 감독을 두려워하진 않지..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