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랜딩&마케팅

(15)
2022년의 마케팅 트렌드, 트렌드를 모르는게 트렌드?! 안녕 여러분! 벌써 2022년 트렌드 코리아가 나온 거 아시나요? 벌써 2022년을 앞두고 있다니 시간이 점점 빨리 가는 거 같아요! 다들 남은 2021년 해보고 싶었는데 아직 못해봤던 일들 다~~ 해보시고 후회없이 2022년을 맞이하시기를 바라요 :-) 그래서 우리는 또 앞서나가는 사람들이 아니겠습니까! 2022년 트렌드 코리아가 나왔다면, 내년 트렌드를 또 안 살펴보고 갈 수가 없죠 ㅎㅎㅎ 과연 2021년에 비해 2022년은 또 어떻게 달라졌을지 오늘 한 번 같이 알아봐요 먼저 [트렌드 코리아 2022]의 저자 김난도 교수는 2022년을 TIGER OR CAT으로 정의내렸어요. 각각 나노사회, 머니러시, 득템력, 러스틱 라이프, 헬시플레저, 엑스틴 이즈 백 등의 핵심 키워드의 약어였는데 오늘은 이 중..
소비자의 시간을 잡아라! 플랫폼들의 콘텐츠 강화✌ 안녕, 여러분! 최근 우리가 자주 쓰는 어플들이 카테고리 확장을 은근슬쩍- 하고 있는 거 느끼셨나요? 색조 메이크업만 팔던 브랜드들도 기초 화장품-> 이너뷰티까지 확장하는 추세이고, 패션 브랜드들은 뷰티, 인테리어까지 확장하기 시작했더라구요! 원래 한 카테고리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브랜드들을 버티컬 커머스라고 하는데 최근 버티컬 커머스들이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면서 많은 유저를 활용해서 쿠팡과 11번가와 같은 종합몰로서의 도약을 시작했다는 뜻이에요🤭 2001년 온라인 패션 동호회에서 출발한 무신사는 국내 최대 규모의 패션 버티컬 커머스로 거듭나면서 2020년 거래액 1조 2천억원을 기록하기도 했죠. 최근에는 스타일쉐어와 29CM도 인수했어요! 3개의 플랫폼 모두 패션 버티컬 커머스에서 내로라하는 플랫폼들인..
파데프리 트렌드, MZ세대들은 왜 화장은 덜 하기 시작했을까? 파데프리 해본 사람? 손? 요즘 커뮤니티 뷰티 게시판의 가장 큰 이슈는 '파데프리'이다. '파데프리'는 '파운데이션 프리'의 줄임말로 파운데이션을 바르지 않고, 베이스 메이크업을 최소화하는 움직임이다. 실제로 과거 한 업체가 여성 직장인 4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90%이상이 "출근 시 화장을 한다"고 답했고, 출근시 화장에 걸리는 시간은 평균 32분이었다. 아침 출근 시간이 얼마나 황금같은지 아는 직장인이라면, 32분이 아침에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번거로우면 진작 하지! 왜 이제서야 유행하기 시작한거야? 사실 지금에서야 마스크를 써서 누가 화장했고 누가 화장을 안 했는지 구분하기 힘들지만, 그 전에는 여자가 화장을 안 하고 다니면 "자기 관리를 못한..
바쁘다바빠 현대사회! 심리학으로 보는 부캐문화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이 문장 요즘 자주 들리고 보이지 않나요? 장도연님이 '나혼자산다' 프로그램에서 언급한 적 있었던 이 단어는 누가 최초로 시작하거나 유래된 말은 아니지만, 많은 역할들을 요구로 하는 현대사회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많은 공감을 하기 시작해서 밈처럼 탄생한 유행어입니다.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많은 역할들. 이 현상을 심리학적 관점으로 '멀티 페르소나'에 빗대어 말할 수 있겠습니다. '페르소나'는 고대 그리스 어원으로 '가면'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보통 가면극에서 배우들은 가면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전달했는데, 여기서 '페르소나(persona)'라는 단어가 등장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사람들이 사회에서 착용하는 '가면'을 '페르소나'에 빗대어 지칭합니다. 원래는 내성적인 성향의 사람도..
생일 주인공 없는 생일파티, 세계관 트렌드 제2탄 생일 주인공 없는 생일파티가 있다고?! 생일 주인공 없는 생일파티 가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게 무슨 소린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한 설명부터 하고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제가 이 글에서 말하는 생일 주인공 없는 생일파티는 아이돌 생일카페입니다! 카페를 대관해서 생일인 아이돌과 관련된 사진과 굿즈들로 꾸며서 생일파티 대관장소처럼 활용하는 형태를 말하는데요. 카페 메뉴 역시 생일 주인공과 관련된 메뉴, 컵홀더 또한 특별하게 제작됩니다. 여러 지역에서 생일카페를 운영하기 때문에 팬들이 생일 카페를 순회하는 것을 '생카 투어'라고 하기도 합니다. 랜선 생카투어 ㄱㄱ~! 저는 사실 아이돌 생일카페를 처음 들어봤을 때 소속사에서 마케팅 차원에서 주최하는게 아닐까?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놀랍게도 대부분 '홈마'가 ..
MZ세대는 지금 '지독한 컨셉'에 미쳐있다! 지독한 컨셉? 그게 뭔데? "어..? 예쁘다.." 요즘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에서 패러디로 많이 등장하고 있는 이 말. 혹시 다들 들어보셨나요? 따라잡기 힘든 세대로 유명한 그 MZ세대가 랜선 남친이라는 컨셉의 '최준'에게 준며들었습니다. (**요즘은 ㅇㅇ에게 빠졌다! 라는 표현보다는 최준의 '준'을 따서 '준며들었다' 라고 표현하더라구요. 예를 들면, 에디터 JEN에게 젠며들였다~ 이런 식으로요 ㅋㅋㅋ) 오늘은 MZ세대의 새로운 트렌드 '지독한 컨셉'에 대해 가볍게 글을 써볼까 합니다. 누가 시작한걸까..? 저는 컨셉의 유행에서 이 분을 빼놓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바로 유튜버 개그우먼 강유미님입니다. 2021년 6월 기준 구독자 81.4만명의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계시는 강유미님은 롤플레이 컨셉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비자 트렌드 알아보기! 곧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내 백신 접종이 가속화되면서, 백신효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소비지수(소비판매액지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2.3%가 늘어 3월(2.3%)에 이어 두달 연속으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화장품 등 비내구재는 2.4%, 의복 등 준내구재는 4.3%로 소비심리가 좋아지면서 판매가 일제히 늘어났다고 합니다. 소비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소비자 행동 변화에 대해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 이번 포스트를 준비했습니다. 곧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과연 소비자 트렌드는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 영상 콘텐츠 소비의 강세 영상 콘텐츠 소비는 코로나 사태 속에서 급증했고, 그 이후에도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로 Hill+Kn..
모든 브랜드가 주목하는 MZ세대, 도대체 왜?!! MZ세대를 잡아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직장을 막 들어간 신입사원에게 너무나 익숙한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MZ세대를 사로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MZ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마케팅 기획서 하나 써와~" 등 직장인 새내기에게는 MZ세대가 여간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실제로 제 지인 중 한 명은 MZ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기획서를 맡아 제 앞에서 머리를 부여잡고 "도대체 MZ세대가 원하는게 뭔데!!"라고 외친 적도 있습니다. 도대체 브랜드들은 도대체 왜 MZ세대에게 집착 아닌 집착을 보이는 것일까요? 떠오르는 유통업계의 '큰손' MZ세대의 연령대를 나누는 수많은 기준이 있기 때문에 대충 현재의 1020세대라고 칭하겠습니다. 이들은 기성세대의 1020세대 때와는 확연히 다른 소비패턴을 보입니다. 이들의 ..